아파트 매매시장과 마찬가지로 경매시장에서도 지방은 활기를 띤 반면 수도권은 침체됐던 것으로 조사됐다.
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이 올 상반기 지역별 낙찰률(경매건수 대비 낙찰건수 비율),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 건당 평균응찰자수를 조사한 결과 모든 부문에서 지방이 수도권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올 상반기 지방 아파트의 평균 낙찰률은 60.3%였지만 수도권은 38%에 머물렀다. 지방에서 경매에 나온 매물 10개 가운데 6개가 주인을 찾았다는 이야기다. 그만큼 경매시장이 활성화됐다는 의미다.
낙찰가율은 지방은 평균 92.7% 수준이었지만 수도권은 82.5%에 그쳤고, 평균응찰자도 지방은 6.8명인데 수도권 6.3명으로 지방이 많았다.
132dd2320057d.jpg)
지역별로 낙찰가율이 가장 높았던 곳은 부산(110.2%)이었으며, 경남(107%)도 100%를 넘었다. 이 지역에서는 대부분 경매물건이 감정가 이상에서 주인을 찾았다. 또 광주(99.3%), 전북(96.6%) 등도 높은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경매시장에서 낙찰가율이 높은 것은 매매시장이 활성화될 것을 기대하고 입찰가격을 높게 써낸 사람이 그만큼 많았다는 의미다.
"DTI 규제가 수도권, 지방 양극화 주요 원인"
지지옥션은 이처럼 수도권과 지방 경매시장의 분위기가 달랐던 것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했다. DTI 규제는 수도권은 적용받지만 지방은 적용받지 않는다.
DTI 적용을 받지 않은 지방은 주택담보대출을 늘리며 쉽게 주택을 구입하고 있지만 수도권은 그렇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지역 금융동향 자료에 따르면 경남은 4월 월별 주택담보대출 증가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부산은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을 중심으로 가계 대출이 빠르게 늘고 있다. 광주전남도 신협과 새마을금고를 중심으로 주택담보대출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지옥션 남승표 선임연구원은 “수도권과 지방에 대한 차별적 규제가 아파트 경매시장의 양극화를 불러온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 정부에서 주택 관련 금융정책을 어떻게 펼치느냐에 따라 이 같은 현상이 더 심화될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132dd231fec16.jpg)
'경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로 내집 마련ㆍ투자 어떨까 (0) | 2011.08.15 |
---|---|
경매시장서도 부산 열기 뜨겁다 (0) | 2011.08.15 |
감정가의 60%선에 나온 아파트 눈길 (0) | 2011.08.15 |
요즘 경매시장 땅이 떵떵거린다 (0) | 2011.08.15 |
공릉동 소형아파트 1억2000만원대에 (0) | 2011.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