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뉴스

중견건설이 살려면 "기업·정부·시스템 모두 바뀌어야

김기영이사 2010. 8. 27. 10:03
728x90
반응형
SMALL

중견건설이 살려면 "기업·정부·시스템 모두 바뀌어야

 

]"주택사업에 치중하다보니 고전하는 겁니다. 장기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는 방법을 고심해야 합니다."(A건설사 관계자)

주택경기 침체로 위기를 겪고 있는 중견건설사들이 자생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중견건설업체들은 주택사업에 지나치게 집중, 최근의 경영난을 맞았다는 자체 평가를 내리고 사업다각화를 위해 고심 중이다. 물론 사업 방향을 다각도로 짤 수 있는 대형건설사들과는 고민의 성격이 다르다.

중견건설사인 B사 관계자는 "대형건설사들이야 주택사업 비중을 조금 낮춰도 해외건설 등 수익원이 다양하지만 중견사들은 상황이 다르다"며 "중견업체들의 사업 구도는 경기 상황에 민감할 수밖에 없어 새로운 포트폴리오를 짜더라도 항상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푸념했다.

실제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 중견건설사들은 주택 외에 공공부문 수주와 에너지 사업 등 다른 대체 수익창구에 눈을 돌리고 있지만 경기 침체로 인해 수주 가능 물량이 줄어든데다, 인력과 자금부족 등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한건설협회에 따르면 올 상반기 공공부문 수주액은 20조23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7% 줄었다. 올 초 '공공부문 수주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사업 목표를 밝힌 C건설사 관계자는 "공공부문 수주는 수익률은 낮아도 매출 개선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건설사 입장에선 매달릴 수밖에 없지만 메이저 기업과의 입찰 경쟁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이런 이유로 건설업계는 "중견건설사가 살아나기 위해선 건설사 스스로의 자구 노력과 함께 정부의 도움이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정부 역시 다양한 형태로 고민하는 모습이다. 지난 11일에는 '건설분야 기업환경 개선대책' 관련 회의를 갖고 △건설공사 도급하한액 조정 △최저가낙찰제 덤핑낙찰 방지 △턴키 설계보상비 지급방식 개선 등의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큰 건설사와 중소 건설사의 평균수주액 차이가 최근 3년 사이에 1600억원 가량 늘어났다"며 "협의를 거쳐 연말까지 중견건설사들이 자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위험과 수익을 공유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의견이다. 워크아웃 중인 C건설 관계자는 "국내 대표 건설사들이 참여한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도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표류하고 있지 않냐"며 "시공사가 보증을 해야 금융사가 돈을 빌려주는 구조를 개선해 시행사·시공사·금융회사가 위험과 수익을 공유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