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국민은행이 2일 내놓은 '10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전세가율)이 60.0%로 나타났다.
60.1%였던 2004년 7월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연립주택(59.2%) 단독주택(41.9%)보다 높았다.
지난달 전세가율 50.5%를 기록한 서울은 2004년 5월(50.1%) 이후 다시 50%를 넘어섰다. 2009년 1월 최저치(38.2%)를 보인 이후 계속 높아지고 있다. 한강 이북 14개 구는 53.2%,한강 이남 11개 구는 48.4%로 각각 조사됐다. 한강 이남 지역의 전세가율은 2003년 5월 49.4% 이후 가장 높았다.
경기도와 인천은 각각 54.6%,49.9%로 수도권 전체 전세가율은 52.5%였다.
전세가율은 수도권에 비해 매매가가 낮은 지방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의 지난달 전세가율은 부산 66.5%,대구 70.1%,광주 74.7%,대전 67.4%,울산 71.5% 등이었다. 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도시의 지난달 평균 전세가율도 66.7%로 높았다.
도별로는 경북이 71.7%로 가장 높았고 제주(69.8%)와 전북(69.7%)이 그 뒤를 이었다. 다만 부산과 대전의 전세가율은 매매가격 강세 탓에 연초보다 각각 2.8%포인트 낮아졌다.
최근 가을 이사철이 끝나면서 전셋값 상승세는 한풀 꺾인 상태지만 매매가가 약세를 보이고 있어 전세가율이 조금 더 올라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전세가율은 전셋값이 더 오르지 않더라도 매매가격이 떨어지면서 상대적으로 오르게 된다"며 "소형주택이 부족한 데다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는 집주인들이 늘고 있어 내년에 전셋값이 소폭 비싸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김진수 기자 true@hankyung.com
![]() ![]() |
728x90
반응형
LIST
'부동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락시영 종상향, 투자해도 될까? (0) | 2011.11.16 |
---|---|
수도권에서 평창가는 길 빨라진다 (0) | 2011.11.04 |
`주인은 나가라지, 갈 곳은 없지`..서민들 전세난에 허리휜다 (0) | 2011.09.02 |
신규입주물량 몰린지역,전세난 탈출구 (0) | 2011.09.02 |
[장용동리포트]전ㆍ월세난 가중…임대수입 고려한 재테크 인기 (0) | 201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