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22일 발표한 정부의 주택거래활성화방안이 수도권 경매시장에 찬물을 끼얹었다.
부동산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이 정부 발표를 전후하여 3월 수도권 아파트 경매 동향을 조사한 결과, 서울의 아파트 낙찰률은 44.4%에서 36%로 8.4%포인트 하락했고, 경기도 역시 42%에서 32.9%로 9.1%포인트 감소했다.
인천은 41.5%에서 49.2%로 7.7%포인트 상승했다.
경매시장 참가자들의 경쟁률을 보여주는 평균 응찰자수는 수도권 3개 시도가 모두 하락했다.
서울은 6.4명에서 5.5명으로, 경기는 6.8명에서 6.1명으로, 인천은 10.1명에서 6.9명으로 줄어들었다. 정부 대책이 규제 부활로 인식되면서 투자자들이 경매시장에서 빠지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강남권 하락세 더 뚜렷
반면 DTI규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 지방 광역시도의 경매지표는 상승세를 기록해 수도권의 경매지표 하락이 3.22 정책의 영향임을 분명히 했다.
수도권 제외지역의 낙찰률은 50.1%에서 58.1%로 8%포인트 상승했고, 평균응찰률도 7.3명에서 9.3명으로 늘어났다.
특이한 것은 3.22 대책으로 인해 오히려 규제 완화의 효과를 누릴 것으로 분석되기도 했던 강남, 서초, 송파 등 강남 3구의 반응이다.
이들 지역은 정부 발표 이후 서울의 전체 지표보다 더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강남 3구의 경매지표는 낙찰률 -12.9%포인트, 낙찰가율이 3.9%포인트 떨어지고 평균 응찰자수도 3.4명 줄어 이번 대책에 대한 투자자들의 냉담한 반응을 읽을 수 있다.
3.22대책을 강남 3구를 위한 규제완화라는 주장도 있었지만 경매시장에서는 통하지 않았던 셈이다.
'경매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 경매시장 왜 이래? (0) | 2011.08.15 |
---|---|
공매 통해 내집 마련해볼까 (0) | 2011.08.15 |
평창동 고급단독 감정가의 50%선에 공매 (0) | 2011.08.15 |
경매낙찰가율 올라가는데 공매는 어떨까 (0) | 2011.08.15 |
감세혜택 보는 9억원초과 주택 경매로 잡아볼까 (0) | 2011.08.15 |